- Home
- 온라인상담/예약
- 온라인상담
이가빠지면 윗잇몸뼈가 흡수되어 퇴화한다던데..
휴대폰
이메일 ybstudio@hanmir.com
제가알기론 치아가빠지면 그윗잇몸뼈조직이 흡수되어 서서히
퇴화되어서 보기흉하다고 들었습니다.
앞이빨의 경우 심미적으로 감쪽같아야할텐데 시간이 지나서 잇몸이 퇴화되면 보철을한모습이 심하게 티가 날것 같은데요..
하지만 임플란트를하면 티타늄이 턱뼈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퇴화속도를 줄여준다고하는데요..
첫번째질문: 예를들어 윗앞치아의경우 발치후 보철을하구서 미관상 드러날정도로 잇몸뼈가 흡수,퇴화되는 모습은 몇년쯤 걸리나요??
2: 임플란트를하면 그속도를 감소한다는데 몇년의 세월간은 심미적으로 안정적인가요??
3:앞 치아를 잃어서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선생님은 제 심정을 이해하실줄 믿고 답변 기다릴께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퇴화되어서 보기흉하다고 들었습니다.
앞이빨의 경우 심미적으로 감쪽같아야할텐데 시간이 지나서 잇몸이 퇴화되면 보철을한모습이 심하게 티가 날것 같은데요..
하지만 임플란트를하면 티타늄이 턱뼈를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퇴화속도를 줄여준다고하는데요..
첫번째질문: 예를들어 윗앞치아의경우 발치후 보철을하구서 미관상 드러날정도로 잇몸뼈가 흡수,퇴화되는 모습은 몇년쯤 걸리나요??
2: 임플란트를하면 그속도를 감소한다는데 몇년의 세월간은 심미적으로 안정적인가요??
3:앞 치아를 잃어서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선생님은 제 심정을 이해하실줄 믿고 답변 기다릴께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1'
닥터안치과
2002-08-26 11:43:00
저희 홈페이지를 방문하시고 질문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질문이 상당히 전문적이십니다.
잇몸뼈를 치의학 용어로 치조골이고 합니다.
임프린트를 잇몸뼈에 심으면 치조골의 흡수가 약간 생깁니다.
성공적인 경우 대개 무시할 정도 입니다.
과학적인 데이터로 말씀드리면,
"임프란트 주위의 골흡수는 0.3 mm 이하 여야한다. "
(1997.9.4. 대한치과이식학회 헌장에서 인용)
실제로 임상에서 임프란트 주위의 골흡수(잇몸뼈의 흡수)는 대단히 미약하여 무시해도 될 정도입니다.
아주 많아야 1 mm 정도이며
오히려 잇몸뼈의 흡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더 큽니다.
잇몸에 적당한 자극은 잇몸의 형태를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잇몸뼈를 그대로 방치하면 첫일년간 흡수가 가장커서 약 3mm, 그이후 계속적으로 매년 0.5mm 정도의 잇몸흡수가 생겨서 10년 정도 지나면 약 7-8mm 정도가 흡수되어서 눈에 뜨게 표시가 납니다.
한편, 어떤 임상보고에서는 70대 노인에서 임프란트의 주위에 잇몸뼈가 더 성장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젊은 사람들에서는 임프란트 주위에 뼈의 과잉성장을 가끔 볼수있는 현상이기도 하지요.(저도 실제로 경험했습니다.)
과도한 자극은 악영향을 미치지만 적당한 자극은 잇몸뼈의 유지에 유리한 영향을 준답니다.
앞니부위는 임프란트하기도 좋고 장기적으로 성공률이 대단히 높습니다.
많이 걱정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이제 의문이 좀 풀리셨나요?
즐거운 하루되시길 빕니다.